LAB 2 - RIPv1 and RIPv2 LAB2에서는 Dynamic protorol 중 하나인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를 살펴 보도록 하겠다. ■ Introduce RIP Hop-Count를 Metric으로 사용한다. Metric의 개념을 설명하자면 각각의 라우팅 프로토콜마다 경로에 대한 점수를 계산하게 되는데, 이 값을 Metric이라 하고, 라우팅시에 먼저 AD 값이 낮은 값을 참조 하고 AD값이 같으면 Metric값을 참조하게 된다. Hop-Count는 라우터의 개수를 센다고 생각하면 싶다. 최대 Hop-Count는 15이다. 즉, Hop-count가 16가 넘어가면 Unreachable 최대 여섯개의 경로에 대해 로드 밸런싱을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4개) 자신의 라이팅 테이블을 이웃에게 전송하며.. 더보기 이전 1 ··· 256 257 258 259 260 261 262 ··· 3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