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 VLAN이란, 말그대로 VLAN으로 나눠진 Broadcast domain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것을 말한다.
앞에서도 설명한 바 있지만,
스위치에서 Inter VLAN구성이 아닌 VLAN만 구성을 하였을 경우에는 vlan이 같지 않은 포트끼리는 통신이 되지 않는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Multilayer Switch나 Router를 사용하여 설정을 해 주어야 한다.
아래 구성을 보면 스위치는 전부 L2 스위치이고, VLAN 100,200 이렇게 두가지가 있다.
실제로 테스트 해보면 알겠지만. vlan100끼리는 통신이 되지는 200으로는 통신이 되질 않는다.
그렇다면 이걸 가능하게 해 보자.
아래와 같이 맨 위의 스위치를 L3 스위치로 바꿔보자.
이제 구성을 조금 바꿔보자.
그리고 Trunk를 설정해주고, 앞과 같이 vlan100과 200을 생성해준다.
Switch(config)#int vlan 1
Switch(config-if)#ip add 172.16.1.254 255.255.255.0
Switch(config-if)#no sh
Switch(config)#int vlan 100
Switch(config-if)#ip add 172.16.100.254 255.255.255.0
Switch(config-if)#no sh
Switch(config-if)#int vlan 200
Switch(config-if)#ip add 172.16.200.254 255.255.255.0
Switch(config-if)#no sh
이렇게 되면 vlan 1,100,200의 default gateway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하고 각 PC에서 default 게이트 웨이를 잡아주면 핑이 서로 가능한 것을 볼 수 있다.
아. 그리고... L3 Switch에서
Switch(config)# ip routing
이 옵션을 활성화 시켜 주어야 제대로 돌아간다.
PC에서 핑을 때리면 L3 스위치에서 VLAN의 옷을 바꿔입고 갔다가 다시 바꿔입고 돌아오는것이다. 이는 앞의 vlan 자료를 보길 바랍니다.
자 이제 Router로 바꿔볼 타이밍이군요.
Switch와 Router 구간 역시 Trunk로 잡아 주고나서 라우터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interface FastEthernet0/0.1
encapsulation dot1Q 1 native
ip address 172.16.1.254 255.255.255.0
!
interface FastEthernet0/0.100
encapsulation dot1Q 100
ip address 172.16.100.254 255.255.255.0
!
interface FastEthernet0/0.200
encapsulation dot1Q 200
ip address 172.16.200.254 255.255.255.0
!
vlan1을 설정하는 것은 그냥 스위치를 관리하는 아이피로 사용하는 것인데, 익숙해질겸 계속 설정을 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설정에서 보시면 encapsulation dot1Q 여기서 나오는 숫자가 vlan 넘버를 적어 주시면 되는 겁니다.
인터페이스의 서브 인터페이스는 사실 필요가 없습니다. 어떠한 숫자를 넣어 주셔도 되지만 보기 편하기 위해서 같은 넘버를 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fa0/0에서 no sh 꼭 잊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