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yu's Tech

EIGRP의 Default Routes



1. ip route 0.0.0.0 0.0.0.0 [interface]
위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default-route를 사용한다.
2. net 0.0.0.0
위의 명령어를 통해서 default route를 광고한다.

R1#sh ip route eigrp
     100.0.0.0/24 is subnetted, 1 subnets
D       100.100.100.0 [90/2297856] via 192.168.1.2, 00:00:05, Serial1/0
     20.0.0.0/16 is subnetted, 1 subnets
D       20.20.0.0 [90/2297856] via 192.168.1.2, 00:02:08, Serial1/0
D    10.0.0.0/8 [90/2297856] via 192.168.1.2, 00:02:15, Serial1/0
     30.0.0.0/24 is subnetted, 1 subnets
D       30.30.30.0 [90/2297856] via 192.168.1.2, 00:02:04, Serial1/0
D*   0.0.0.0/0 [90/2297856] via 192.168.1.2, 00:00:05, Serial1/0
R1#

위와 같이 default route에 대한 정보가 라우팅 테이블에 올라오게 된다.
아니면 redistribute를 이용해서 static route를 재분배 해주어도 사용가능하다.

default route [ 0.0.0.0 ] 은 static route를 사용한 것임을 아시죠?
디폴트 라우트는 라우팅 테이블을 참고하여 매치할 경로가 없을때 디폴트를 이요하는 것이죠

그리고, ip default-network 와 ip default-gateway 커맨드가 있습니다.
결국, 모르는 패킷은 어디로 보내라고 정의하는 것인데요
ip default-network 는 L3 장비
ip default-gateway 는 L2 장비
이렇게 알고 계시면 됩니다.
그리고
ip default-network 와 ip route 0.0.0.0 0.0.0.0 은 같은 의미입니다.
그리고 ip default-network에서 사용할 네트워크는 routing protocol에서 미리 정의를 해 준 네트워크이어야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