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TP ( Dynamic Trunk Protocol )
* Switchport mode access - non-trunk 포트로 만들어주게 됩니다.
* Switchport mode trunk 포트를 수동적으로 trunk 포트로 지정하는 것입니다.
* Switchport mode dynamic desirable - trunk 포트로 변환을 시도하게 마들어 줍니다. 반대편 포트가desirable,auto,trunk 라면
Trunk 포트로 변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는 스위치의 default 셋팅입니다.
만약 상대방 포트가 access나 nonego 모드라면 트렁크로 동작하지 않게됩니다.
* switchport mode dynamic auto - 만약 상대 포트가 trunk나 desirable 이라면 trunk 포트가 됩니다.
* switchport nonegotiate - 인터페이스에서 DTP frame을 생성하지 않게됩니다. 그러므로 이런 포트는 수동적으로 trunk나 access를 지정해 주어야합니다.
여기서 dynamic쪽이 좀 애매할 수도 있는데...
desirable은 적극적(능동형)
auto는 소극적(수동적)
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한쪽이라도 적극적이어야 trunk 포트가 될 수 있습니다.
auto -------- auto 라면 둘다 소극적이어서 trunk 포트가 되지 못하고
desirable --- auto 와 같이 한쪽이라도 적극성이 있어야 커플이 탄생합니다.
Desirable | Trunk (on) | Access (off) | Non-Negotiate (access) | Non-Negotiate (trunk) |
Trunk | Trunk | Static access | Static access | Unexpected Results |
Trunk | Trunk | Static access | Static access | Unexpected Results |
Trunk | Trunk | Unexpected Results | Unexpected Results | Trunk |
Static access | Unexpected Results | Static access | Static access | Unexpected Results |
Static access | Unexpected Results | Static access | Static access | Unexpected Results |
Unexpected Results | Trunk | Unexpected Results | Unexpected Results | Trun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