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Model - OSI 7 Layer
[ System - 시스템이란 하나의 공통적인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조직화된 요소들의 집합체라고 정의할 수 있다. ]
Encapsulation
각 계층에서의 Data에 Header를 덧붙여 계층에서의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수신시에는 이를 분석한다.
물리적으로 보면 데이터는 한번에 처리되는것처럼 보이지만 논리적으로 보면 데이터는 각 계층에서의 필요한 부분만 처리 되며, 계층적으로 Data가 처리된다는것을 볼 수 있다.
즉, 데이터는 수신측으로 데이터를 그냥 넘겨주는 것이 아니라 각 계층에 맞게 데이터를 송수신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 Network Service Access Point address (NSAP address) ]
[ Service Access Point (SAP) ]
a. Application Layer
- 사용자와 컴퓨터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계층이라고 볼 수 있다.
- HTTP, FTP
b. Presentation Layer
- 표현 계층은 Code간의 번역을 담당한다. 각 사용자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형식상의 차이를 다루는 부담을 덜어준다.
- 즉 데이터를 응용계층이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데이터를 변환하는 일을 처리한다.
- EBCDIC, ASCII, BMP, JPG
c. Session Layer
- 목적지와의 논리적 통신로 제공, 이 말은 대화의 연결, 유지, 종료를 담당한다고 간단하게 말을 할 수는 있으나 이를 설명하기는 쉽지 않다.
대화는 대화 자체, 세션은 대화의 흐름이라고 생각하면 어느정도 개념을 잡기가 쉽다.
세션이 대화의 흐름이라는 말은 대화가 진행되면 가끔은 상대방을 못 알아 듣고 다시 전달을 요구해야할 때가 있다.
그러면 일정 부분부터 대화를 다시 시작해야 하는데 이 부분이 세션 계층이 하는 일과 비슷하다.
또한 세션 계층은 duplex, half duplex, full duplex 와 같은 대화의 방식을 결정한다. 이는 상대방과 같이 말할 것인지 한쪽씩 말을 할 것인지 대화의 방식을 결정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 데이터에 syn(동기화지점)을 포함하여 장애에 대비할 수 있다.
d. Transport Layer
- End to End, Port to Port, Process to Process. 즉, 송수신지의 프로세스와 1:1로 연결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 이 계층은 3계층이 IP를 통한 주소지와 목적지를 가지고 있다면 본 계층에서는 데이터의 목적을 알아내고 식별하는 계층이라고 할 수 있다.
e. Network Layer
- IP = Network + Host
- 다른 그룹으로 경로를 제공해 주는 그런 계층이다. 즉, 네트워크 상에서 다른 목적지 까지 가기 위해서는 많은 노드를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경로를 찾아주는 역할을 하는 계층이다. 라우터가 바로 이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이다.
f. Data link Layer
- Physical 계층에서 상대측과 연결을 하였다고 해도 Link를 생성하지 않으면 통신이 제대로 될 수가 없다.
- Network Layer가 IP간의 통신을 담당한다면 DataLink 계층은 MAC 주소를 통해 통신을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본 계층은 논리적 회선을 연결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 결론적으로 Physical Layer에서 주고 받는 데이터의 오류와 흐름을 제어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g. Physical Layer
- 물리 계층은 실제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전기적, 물리적 세부 사항들을 정의한다
- 예를 들어, 핀들의 배치나 전압, 전선의 명세 등이 이 계층에 포함된다. 허브나 리피터가 물리 계층의 장치이다.